본문 바로가기

좋은글. 읽을거리246

피디저널리즘과 피디수첩 무죄 / 박경신 * 피디저널리즘과 피디수첩 무죄 / 박경신 기자저널리즘과 피디저널리즘은 무엇이 다른가. 보이는 것을 보도하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을 찾아내 보도하는 것의 차이라고 할 수 있을까. 언론의 의무가 공론을 시작하는 것이라면 가장 공론이 필요한 사안들은 관련 정보가 부족한, ‘보이지 않는’ 사안.. 2010. 1. 23.
세종시를 국민의 뜻대로 하라 / 권용우 세종시를 국민의 뜻대로 하라 / 권용우 - 성신여대 교수·도시지리학 동서고금의 수도는 ‘정치적 결정’에 의해 이루어진 경우가 많다. 과거 동로마제국의 콘스탄티노플,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모스크바가 그랬다. 현대의 독일은 ‘표’로 대변되는 국민들의 여론을 중시했다. 2차대전 후 베.. 2009. 11. 29.
용산에서 / 홍세화 또 용산인가. 아니, 아직 용산이며, 기어이 그날이 올 때까지 계속 용산이어야 한다. 왜 나는, 우리는 용산에서 벗어나지 못하는가, 벗어날 수 없는가. 매일 저녁 7시 용산참사 현장에서는 희생자를 추모하는 생명평화 미사가 열린다.(일요일 제외, 목요일엔 개신교 예배) 참석자가 많지 않아서일까, 오.. 2009. 9. 26.
누구를 위한 재개발인가? / 이정우 누구를 위한 재개발인가? [열려라 경제] 이정우의 경제이야기 베를린에서 열린 국제주거연맹(Habitat International Coalition) 총회에서는 한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을 가리켜 “세계에서 가장 폭력적으로 재개발을 하는 나라”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개발과 성장으로 이름을 날리던 한국이 부끄러워진 순간.. 2009.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