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 이야기

집으로 가는 길 / 장쯔이의 데뷔작

by 정가네요 2015. 1. 25.

 

*

 

아주 우연히

장쯔이의 데뷔작 '집으로 가는 길'을 TV에서 보게 되었다.

다시 봐도 가슴 찡한 사랑 얘기다.

스무살의 풋풋한 장쯔이도 예뻤지만

자작나무가 나오는 배경이 정말 아름다웠다.

전통의 가치를 강조하고 영화의 시각적인 면을 중요시하는

거장 장예모 감독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영화였다.

현실은 흑백으로 과거는 컬러로...

 

 

<펌>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ebsstory&logNo=220249755588

 

 

중국 톱 여배우 장쯔이의 데뷔작, '집으로 가는 길'은

아버지의 장례식을 준비하면서 부모님의 아름다운 첫사랑이야기를 들으며 시작됩니다.

중국 전통 장례에서의 길은' 죽은 자가 집으로 오는 길을 잊지 말고 기억하라'는 뜻이 있다고 합니다.

이 생에 마지막으로 그와의 추억과 사랑이 담긴 길을 걷고자 하는 한 여인의 바람은 가슴 찡한 감동을 줍니다.

손짓, 고갯짓, 눈빛으로 사랑을 그리는 장쯔이의 앳된 모습을 이번 주말 '집으로 가는 길' 에서 함께 만나보세요! 



 


   

중국의 톱 여배우, 장쯔이의 데뷔작!

  

집으로 가는 길 我的父親母親, The Road Home (1999년 / 중국)


-EBS <일요 시네마>

 

 

 

 

■방송일시: 2015년 1월 25일 (일) 낮 2시 15분  (110분)

■감독: 장이머우(장예모)

■출연: 장쯔이, 쑨훙레이, 정하오, 자오위에린, 리빈

■나이등급: 12세



영화 <집으로 가는 길> 줄거리

 

 

 

도시에서 일을 하는 ‘뤄성(쑨훙레이 분)‘은 

평생을 시골마을에서 교직에 몸담고 계시던 아버지가 

갑자기 돌아가셨다는 부음을 듣고 한걸음에 고향으로 향합니다. 

고인이 평소에 다니던 길을 따라 고향으로 모시는 

전통장례를 고집하시는 어머니를 설득하다가,

 지난날 전해 들었던 부모님의 아름다운 첫사랑을 회상하게 됩니다


마을에서 가장 예쁘고 솜씨 좋은 방년 18세의 자오디(장쯔이 분)는 

앞이 보이지 않는 어머니를 모시고 집안의 가장 노릇을 하는 당찬 아가씨입니다.

 마을에서도 1등 신붓감으로 여러 총각들의 관심을 받고 있었지만 그녀는 관심도 없고,

 마을에 처음으로 부임해온 20세 총각 선생님 뤄(정하오 분)에게 첫눈에 반합니다. 

학교 신축 공사에 동원된 인력들을 위해 마을 사람들은 매일 점심 식사를 준비하는데, 

솜씨 좋은 자오디는 자신이 만든 음식을 행여나 뤄가 먹게 될까봐 온갖 정성을 다합니다.

 뤄 선생의 낭랑한 책 읽는 소리를 듣고 싶어, 

물을 길을 때에도 일부러 학교 근처까지 가는 수고스러움을 마다하지 않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뤄 선생도 자오디의 존재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마음을 담은 머리핀도 선물합니다. 


 


하지만 둘은 미처 사랑을 확인하기도 전에, 

뤄 선생이 극우파 인물로 몰려 갑작스러운 이별을 맞게 됩니다.

 뤄 선생이 선물한 머리핀과 그를 위한 음식이 담겼던 깨진 그릇만 남긴 채 말입니다.

 자오디의 마음은 공허한 들판을 헤매다가 결국 병까지 앓게 됩니다. 

자오디가 만든 만두를 먹으러 오겠다는 약속을 지키기 위해 뤄 선생은 몰래 마을로 돌아오고,

 두 사람의 사랑이 이루어진 후 40년간 다시 헤어진 적이 없었습니다. 


부모님의 이런 숭고하고 애절했던 첫사랑을 떠올리며, 

아들 뤄성은 무리해서라도 아버지의 전통장례가 성사되도록 

마을 촌장에게 부탁하게 되고, 

아버지의 가르침을 받았던 옛 제자들은 먼 길을 마다하지 않고

 하나, 둘씩 고향으로 돌아와 장례 행렬에 참석합니다. 



영화 <집으로 가는 길> 주제


 


<집으로 가는 길>에서의 '길'은 사랑하는 연인을 기다리고, 

그에 대한 한없는 사랑을 표현하는 공간입니다.

 특히, 이생에 마지막으로 그와의 추억과 사랑이 담긴 

그 길을 걷고자 하는 여인의 바람은 가슴 찡한 감동을 줍니다. 


중국 전통장례에서의 길은 

'죽은 자가 집으로 오는 길을 잊지 말고 기억하라'는 의미를 가진다고 합니다. 

작은 시골마을의 교사로 한평생을 지낸 아버지의 장례식 날, 

도시에서 몰려든 수많은 제자들, 

그들은 자신들에게 가르침을 주기 위해 선생님이 오셨던 그 길을 다시 걷습니다. 



 

영화 <집으로 가는 길> 감상 포인트

 


전통적인 가치와 의미가 매도되었던 문화혁명을 겪은 중국에는 

자본주의 물결이 몰아치고 사람들은 물질주의적인 것에 물들어 갔습니다. 

장 감독은 그들에게 ‘옛 전통의 가치, 배움의 고귀함, 

사랑의 참된 의미’를 되짚어 주고자 한 것입니다.


 스스로 격동의 문화혁명 시대를 경험한 그는 

인간의 사고나 감정이 사상의 강요나 물리적 힘으로 통제될 수 없음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시시각각 변화하는 시대에 밀리고 혼돈에 빠진 채 

사라져가는 소중한 것들에 무감각한 오늘의 우리들에게 

<집으로 가는 길>이 던지는 메시지는 소박하지만 여운이 깊습니다. 


또한 이 영화는 장쯔이의 데뷔작이기도 한데,

 당시 영화학교에 재학 중이던 그녀는 퇴학 위기에 처해 있었는데, 

같은 학교 출신 감독인 장이머우의 눈에 띄어 캐스팅됩니다. 


무성 영화의 성격이 강한 이 영화에서 

그녀는 사랑을 그리는 방식을 말이 아닌 손짓, 고갯짓, 눈빛 등으로 표현하여

 앳돼 보이면서도 배우의 느낌이 물씬 나는 성숙한 연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영화 <집으로 가는 길> 감독, 장이머우

 

 


장이머우 감독은 첸카이거와 함께 

대표적인 중국 5세대 감독으로 꼽힙니다. 

1988년<붉은 수수밭>으로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대상을 받으며 세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시각적인 면에서 뛰어나다는 평을 받고 있으며, 

중국적이면서 동시에 세계적인 영화를 지향하며

 상업영화와 예술영화의 경계를 허문 것으로 평가받습니다. 


국민당원인 부친 때문에 1966년 고등중학교를 졸업한 그는 

문화혁명으로 인해 산시성의 농촌과 방직공장에서 10년이란 세월을 보냅니다. 

이때 촬영에 호기심을 가지게 되고 

자신의 피를 팔아 카메라를 살 정도로 사진에 관심을 갖게 됩니다. 

1978년 베이징영화대학 촬영과에 입학하고, 

졸업 후 장쥔자오 감독의 <하나와 여덟>, 

첸카이거 감독의 <황토지> 등을 촬영하여 촬영기법을 연마한 뒤,

 1988년에는 그의 성공작인 <붉은 수수밭>을 완성합니다.

 

또한 <국두>(1990)를 통해 칸영화제 루이 브뉘엘상을 받으면서 

장이머우라는 이름은 중국보다 해외에서 더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중국의 가옥 구조와 여성에 대한 섬세한 묘사가 부각되었던

 <홍등(大紅燈籠高高掛)>(1991)과 같은 작품을 통해 

지나친 형식주의로 인해 사실적 관점을 놓쳤다는 비판을 받기도 합니다. 


이에 자극을 받은 그는 <귀주 이야기(秋菊打官司)>(1992)를 통해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자기 성찰과 사실주의적인 면을 강조합니다. 

그 후, 평범한 중국 가정을 사실적으로 그려낸 <인생>(1994), 

1930년대 할리우드 뮤지컬과 홍콩 누아르를 합쳐놓은 상업영화 

<상하이 트라이어드 Shanghai Triad>(1995), 

현대 중국 젊은이들의 자화상을 그린 <유화호호설(Keep Cool)>(1997)을 거쳐, 

<책상서랍속의 동화>(1999)까지 다양한 스타일의 작품을 선보인 그는 

중국 전통을 부정하지 않는 선상에서 현대적 사고방식과 독특하고 예민한 안목을 접목시켜, 

선명한 민족 특색과 강렬한 예술적 감화력이 있는 다양한 작품들을 탄생시켰습니다. 

최근작으로 공리 주연의 2014년작 <5일의 마중>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