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 모음

<펌> 중국의 역사

by 정가네요 2014. 12. 30.

 

<펌>

http://cafe.daum.net/munsuwon/j9j/2?q=%C1%F8%B3%AA%B6%F3%20%C0%B0%B1%E2%208%BF%D5%C0%C7%B3%AD&re=1

 

* 중국의 역사

 

나라
연대
건립자
망국자
주요역사사건
중요역사인물
하나라
BC21~BC16
기 가 선양제도를 파괴하다 , 소강중흥
 
상나라
BC16~BC11
상탕혁명 , 반경천도, 무정성세, 노예들의 반란, 갑골문자
백이와 숙제
서주
BC11~BC771
주무왕
주유왕
주나라 무왕이 상나라 주왕을 토벌하다 , 봉화로 제후를 놀리다
포사
춘추
BC770~BC476
 
 
구구단승법표 , 상영변법
중이 , 개자추, 서시, 동시, 춘추삼자(노자,공자,손자) , 관중, 백아.자기, 노반, 맹자, 구천
전국
BC475~BC221
 
 
백가쟁명 , 나침반
굴원 , 맹모, 장자, 강태공
진나라
BC221~BC206
진시황
2세
진왕이 6국을 멸하다, 대택향봉기, 아방궁을 불사르다, 홍문연, 초한전쟁, 문자통일, 화폐-도량형 통일,분서갱유, 만리장성 축조, 군현제, 패왕별희, 거록지전 , 통일6국
항우 , 여불위, 맹강녀, 우희, 형가
서한
BC202~8
유방
유자유영
문경의치 , 백가를 폐지하고 유교만 숭상한다, 불교의 중국 전래, 사마천의사기, 위청.곽거병이 흉노에 저항하다, 장건이 서역에 파견되다
한무제 , 사마천, 왕소군, 장량 , 한신, 여후, 맹광
신나라
8~23
왕망
 
왕망의 개혁제도 , 녹림.적미의 난
 
동한
25~220
유수
유협
광무중흥 , 황건의 난 , 반고의 한서 , 반초가 서역에 사절로 파견가다, 장형과 지동의, 제지술
반초 , 장형, 장중경, 화타
삼국 (위,촉,오)
220~280
조비 , 유비, 손권
유선 , 조환, 손호
군영을 불태우다 , 맹획을 7번 사로잡다, 기산에 6번 출병하다
손권 , 여포, 관우, 장비, 제갈량, 조식, 초선, 조조
서진
265~316
사마염
사마서
8왕의 난
석숭 , 육기
동진 16국
317~420
사마예
사마문덕
비수지전
왕휘지 , 도연명
남조 , 북조
420~589
유욕
진숙보
북위효문제개혁
조충지
수나라
581~618
수문제
수양제
대운하개통
수양제
당나라
618~907
이연
이축
정관의 치 , 개원성세, 번진할거, 황소의난, 안사의난, 唐詩 , 양세법, 현무문의 변 , 화약
당태종 , 당현종, 한유, 곽자의 , 무칙천, 양귀비,이백,두보,백거이 , 오도자, 현장, 혜능
5대10국
907~960
주온
이욱
석경당이 연운 16주를 할당받다
후주세종채영 , 위장
요나라
916~1125
예신아보기
예진연희
송요전연지맹
요태종예진덕광 , 소태후소탁
북송
960~1127
조광윤
휘흠 2세
진교병변 , 왕안석변법, 정강의 변, 주자학 정립, 활자인쇄술, 왕소파 .이순의 난, 술을 권하여 병권을 받치게 하다
왕안석 ,사마광, 필승 , 소식, 송강
서하
1038~1227
이원호
이현
원호가 서하를 세우다 , 몽고가 서하를 멸하다
 
금나라
1115~1234
완안아골타
완안승린
몽고가 금을 멸하다 , 완안아골타가 금을 세우다
 
남송
1127~1279
조구
조병
악비가 금에 대항하다 , 명절풍속, 징기스칸의 몽고통일
악비 , 주희, 육유, 신기질, 이청조,포청천
원나라
1271~1368
쿠빌라이칸
타목어울
홍건군의 난 , 원나라가 남송을 멸하다 , 쿠빌라이칸이 국호를 원으로 정하다
징기스칸 , 관한경, 나관중
명나라
1368-1644
주원장
숭정제
토목의 변 ,척계광이 왜구를 물리치다, 오삼계가 청나라에 투항하다, 명나라 말기의 농민반란, 일조변법, 명성조가 북경으로 천도하다 , 명장성수축, 명나라를 세우다
이시진 , 당인, 이자성
청나라
1640-1911
누루하치
부의
강희가 삼번을 진압하다 , 태평천국운동, 청 나라 황제가 퇴위하다 , 8개국연합군이 북경에 진입하다, 의화단 운동, 무술변법, 중일갑오전쟁, 양무운동, 신유정변, 원명원을 불사르다, 제1차아편전쟁, 제2차아편전쟁, 호문소연, 화탁형제의 반란, 삼원리에서 영국군에 대항하여 투장해다, 탄정입모, 중러 네르친스크 조약 , 정성공이 대만을 수복하다, 보로운동
임칙서 , 자희, 강희, 건륭, 조설근, 오삼계, 이홍장, 황태극
 
기타 -사건
중국동맹회설립 , 신해혁명, 중화민국설립, 21조, 원세개 황제 칭함, 호법운동, 중국공산당설립, 북벌전쟁, 남창봉기, 9.18사변, 준의회의, 노구교사변, 연안정풍운동, 해방전쟁, 중화인민공화국성립, 남경대학살, 홍군장정, 5.4운동, 서안사변
기타 -인물
황제 , 대우, 서왕모, 여와, 임충, 무송, 축영대, 임대옥, 앵앵과 홍량, 목계영, 백량자, 서비홍, 제백석, 장대천, 노신, 모택동, 주은래, 주덕, 유소기, 등소평, 손중산, 장개석, 송씨 3자매, 장학량, 레이펑



▒ 나라 소개

 

1. 하나라 ( 夏朝 , xiào cháo )
( 기 )에 의해 건립되었으며 지속된 시간은 대략 기원전 21세기로부터 기원전 16세기까지이며 400여년 기간이었다. 하조는 중국노예사회의 형성시기이며 또한 중국역사에서 첫 왕조시기였다.
2. 상나라 ( 商朝 , shāng cháo )
( 탕 )에 의해 건립되고 지속된 시간은 기원전 16세기로부터 기원전 11세기까지이고 도합 600여년이었다. 商朝 ( 상조 )는 중국노예사회의 발전시기이며 청동문화 문명사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다.
3. 서나라 ( 西周 , xī zhōu )
周武王 ( 주무왕 )에 의해 건립되고 지속된 시간은 대략 기원전 16세기로부터 기원전 771년까지이고 도합 300여년이었다. 서주는 중국 노예사회의 발달 시기였다.
4. 춘추 ( 春秋 , chūn qiū )
기원전 770년부터 기원전 476년까지는 중국의 春秋时期 ( 춘추시기 )이며 중국 노예사회의 와해 시기였다. 이 기간에 사회가 격렬하게 동요되었으며 각 제후국간의 전쟁이 끊이지 않았었고 봉건제도가 점차 형성되던 시기였다.
5. 전국 ( 战国 , zhàn guó )
기원전 475년부터 기원전 221년까지는 중국의 战国时期 ( 전국시기 )였다. 제, 초, 연, 한, 조, 위, 진 7국이 서로 전쟁을 하고 봉건제도를 확보하기 시작하였다. 마지막에 秦国 ( 진나라 )가 6국을 멸망시키고 중국을 통일하였다.

 

6. 진나라 ( 秦朝 , qin chao )
도읍은 함양이었으며 , 중국 역사 최초의 봉건왕조를 이룬 나라로 진시황(秦始皇)은 중국의 첫 황제가 되었다.. 진시황은 만리장성, 아방궁, 병마용을 건설하였으며 문자, 도량형, 화페 등을 통일하였고 분서갱유(焚書坑儒)를 단행하였다. 주요인물은 동중서(董仲舒), 이사(李斯)이다.
7. 서한 ( 西汉, xī hàn )
刘邦 ( 유방 )에 의해 건립되었고, 도읍은 장안이었다. 기원전 202년부터 기원 8년까지 지속되었다. 서한의 경제는 번영하고 국력이 강대하였으며 중국 봉건사회가 초보적 발전을 가져온 시기이며 중국의 첫번째 되는 황금시기였다.
8. 신나라 ( 新朝, xīn cháo )
서한의 외척 王莽 ( 왕망 )이 황위를 탈취하고 신조를 세웠다. 왕망( 王莽 )은 한차례 정치, 경제 개혁을 하여 통치를 공고히 하려 하였으나 사회적 모순이 심하여 개혁이 실패로 돌아가고 농민봉기가 일어났다.
9. 동한 ( 东汉, dōng hàn )
刘秀 ( 유수 )에 의해 건립되었으며 기원 25년부터 기원220년까지 지속되었다. 동한의 국력은 강하였고 중국 봉건사회가 진일보 발전하던 시기였다. 후기에 지방 지주세력이 팽창하여 군벌 혼란의 전쟁 국면이 나타났다.
10. 위나라 ( 魏国, wèi guó )
东汉( 동한 ) 이후에는 魏 ( 위 ), 蜀 ( 촉 ), 吴 ( 오 ) 삼국시기였다. 위나라는 曹丕 ( 조배 )에 의해 건립되었으며 기원220년부터 265년까지 지속되었다. 위나라 시기 중국 북방은 초보적인 회복을 가져왔고 위나라는 마지막에 진( 晋 )나라에 의해 교체되었다.

 

11. 촉나라 ( 蜀国, shú guó )
刘备( 유비 )에 의해 세워졌으며, 서기 221년부터 263년까지 지속되었다. 촉나라 시기 중국 사천지역이 발달하였다. 刘禅 ( 유선 )이 재위기간에 촉나라는 위나라에 공략되어 멸망하였다.
12. 오나라 ( 吴国, wú guó )
孙权 ( 손권 )이 건립하고 서기 222년부터 280년까지 지속되었다. 오나라 시기 중국 강남지구를 개발하고 대만과 대륙간의 연계를 강화하였다. 孙皓 의 재위 기간에 오나라는 진 ( 晋 )나라에 의해 공략되어 멸망하였다.
13. 서진 ( 西晋, xī jìn )
서진은 司马炎 ( 사마염 )에 의해 건립되었으며 서기 265년부터 316년까지 지속되었다. 서진이 삼국의 국면을 결속하여 중국은 잠시 동안 통일을 이루었다. 서진은 마지막에 匈奴 ( 흉노 ) 군대에 의해 멸망되었다.
14. 동진 ( 东晋, dōng jìn )
동진은 司马睿 에 의해 건립되었고 기원 317년부터 420년까지 지속되었다. 동진은 중국 강남지역에 나라를 세우고 남방의 경제 문화를 발전시켰다. 마지막에 대장 刘裕가 동진을 멸망하고 송나라를 세웠다 .
15. 남조 ( 南朝, nán cháo )
서기 420년에 대장 刘裕 이 동진을 멸망하고 송나라를 건립하고 그후 170년간 중국남방은 연이어 宋 ( 송 ), 齐 ( 제 ), 梁 ( 량 ), 陈 ( 진 ) 네개 왕조시대를 거쳤는데, 이것을 南朝 ( 남조 )라 한다.

 

16. 북조 ( 北朝, běi cháo )
北魏 ( 북위 )가 서기 439년에 중국 북방을 통일하고 후에 高洋 ( 동위 )와 西魏 ( 서위 )로 분열 되었다. 동위는 高洋 에 의해 탈취되었고 北齐 ( 북제 )가 세워졌다. 西魏 ( 서위 )는 宇文泰 에 의해 탈취되었으며 北周 ( 북주 )가 세워졌다. 이 5개 왕조를 北朝 ( 북조 )라 한다.
17. 수나라 ( 隋朝, suí cháo )
杨坚( 양견 )에 의해 건립되었으며, 서기 581년부터 618년까지 지속되었다. 수나라 장기간 분열을 결속하였고 중국을 다시 통일하고 역사를 크게 추진시켜 이후에 강대한 唐 왕조를 건립하는데 기초를 닦아 놓았다 .
18. 당나라 ( 唐朝, táng cháo )
당태조 이연 (李淵)이 세운 나라로 도읍은 장안이었으며, 중국 역사에서 가장 강성한 시기였다. 경제, 대외 교류가 비약적으로 발전하였으며 안사의 난(安史之亂)이 발생하였다. 이름있는 당시(唐詩)가 바로 당 나라의 시를 말한다. 주요인물은 당태종(唐太宗), 당현종(唐玄宗), 무측천(武則天), 양귀비(楊貴妃), 이백(李白), 두보(杜甫)등 이다.
19. 오대십국 ( 五代十国, wǔ dài shí guó )
서기 907년에 당나라가 멸망된 후 중국은 73년의 분열상태에 들어섰다. 북방은 차례로 다섯 개 나라들이 세워졌으며 남방과 산서지역은 차례대로 열개의 나라가 건립되었다. 이러한 분열시기를 오대십국이라 한다.

20. 요나라 ( 辽国, liáo guó )

거란 ( 契丹 )은 중국 동북에 거주하여 있는 소수민족이었으며 AD 907년 아보기가 건립한 정권이다. 아보기(阿保機)가 죽은 뒤 야율덕광(耶律德光)이 왕위를 계승받고 국호를 요(遙)라고 하였다.

 

21. 북송 ( 北宋, běi sòng )
赵匡胤 이 기원 960년에 건립하였으며, 1127년에 금나라에 의해 멸망되었다. 북송은 경제가 발달하고 상업이 번영하였으며 과학이 선진적이고 당시 세계에서 선진적인 대국이었다. 하지만 군사적인 면에서 별다른 성과가 없었다.
22. 서하 ( 西夏, xī xià )
서하 ( 西夏 , 1032년 ~ 1227년)는 중국 서북부의 소수민족 党项族 ( 땅썅족 )이 세운 정권이다. ( 元昊 )왠하오가 즉위한 뒤, 공개적으로 황제로 자칭하고 서하국을 세웠다. 송 나라와 여러차례 전쟁이 치뤘고, 최후에 몽골에 멸망되었다.
23. 금나라 ( 西夏, xī xià )
11세기 중엽 여진 완안부(女眞 完顔部)는 추장 아골타(酋長 阿骨打)의 지도하에 세력이 점차 커졌다. 1115년 원단(元旦), 아골타(阿骨打)는 황제로 호칭히고 국호를 금(金)이라고 하여 금태조(金太祖)로 등극하였다.
24. 남송 ( 南宋, nán sòng ):
赵构 (조구)가 기원 1127년에 건립되었으며 1279년에 元朝 ( 원나라 )에 의해 멸망되었다. 南宋 ( 남송 )은 중국남부 지역의 경제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켰으며 번영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군사상에서 남송은 북방의 금나라, 몽고보다 못하였다.
25. 원나라 ( 元朝, yuán cháo )
원나라는 몽고족이 건립한 것이었고 기원 1271년부터 1368년까지 지속되었으며 중국 역사상 면적이 제일 큰 왕조였다. 원나라의 통치는 잔혹하였으며 후에 주원장이 건립한 명나라에 의해 대체되었다.
26. 명나라 ( 明朝, míng cháo )
1368년 주원장(朱元章)은 남경(南京)에서 제(帝)라고 자칭하고 연호를 ‘홍무(洪武)', 국호를 ‘대명(大明)'이라고 하였다. 명나라는 전기에 국력이 강대하고 경제가 번영하였으나 중후기에 보수적이고 봉쇄정책을 실시하여 점점 쇠약해지고 중국으로 하여금 세계에서 차지하고 있던 중국의 지위를 잃게 하였고, 1644년에 청나라에 의해 멸망되었다.
27. 청 나라 ( 清朝, qīng cháo )
努尔哈赤 ( 누르하치 )가 1616년에 후금 정권을 세웠고 皇太极 ( 황태극 ) 때에 국호를 “청(清 )”으로 바꿨다. 청 나라가 들어서면서, 다민족을 하나의 통일 왕조를 세웠다. 청 나라는 명 나라의 제도를 이어받았고 전제 중앙집권체제를 강화하였다.



▒ 설립자와 망국자 ▒

 

1. 기 ( 启, qǐ )
대우의 아들 , 그는 선양제를 폐하고 왕위를 계승하여 세습제를 만들었으며 중국역사에서 최초의 나라인 하조(나라)를 건국 하였다. 이 때부터 원시 사회들이 서로 결속하여 노예사회가 시작되었다.
2. 걸 ( 桀, jié )
하나라 마지막 제왕으로서 , 그는 간신을 중용하고 충신을 배척하고 여자를 즐겼다. 역사적으로 유명한 폭군이었다. 그가 재위한 53년에 商 ( 상 )부락의 수령 탕에 의해 격파되고 하조가 멸망되었다.
3. 탕 ( 汤, tāng )
상 부락의 수령으로서 , 그는 伊尹 을 중용하고 백성을 너그럽고 후하게 대하였다 . 그는 병사를 출동하여 하조를 멸망하고 중국 역사상 두번째 조대 상조를 건립하였다. 그리고 상조의 세력을 황하상류까지 확장하였다.
4. 주 ( 纣, zhòu )
商朝 마지막 제왕으로서 , 그는 잔혹하게 인민을 압박하고 여자를 즐겼으며 역사상 유명한 폭군이었다. 그가 재위한 33년에 주무왕에게 격파되고 朝歌鹿台 에서 자살하였다 . 상조는 이렇게 멸망되었다.
5. 주무왕 ( 周武王, zhōu wǔ wáng )
이름은 姬发이고 周文王 의 아들이다 . 그는 姜子牙 를 재상으로 삼고 상조를 멸망하고 서주를 건립하였다 . 그는 주나라 세력을 공고히 하고 친척들과 공신들로 하여금 제후국을 만들게 하였다.

 

6. 주유왕 ( 周幽王, zhōu yōu wáng )
西周 시대 아둔하기로 유명한 군주이다 . 그는 왕비 褒姒를 총애하고 마음대로 봉화를 올려 제후들을 속이는 것을 쾌락으로 삼았다 . 얼마 되지 않아 犬戎兵 이 침략하여 려산에서 주유왕을 죽이고 서주를 멸망시켰다 .
7. 진시황 ( 秦始皇, qín shǐ huáng )
이름은 영정 (贏政)으로 6국을 멸망시키고 중국역사에서 처음으로 통일된 왕조 진(秦)을 건립하였으며 “시황제(始皇帝)”으로 자청하였다. 또한 만리장성(長城)을 쌓았으며 병마용(兵馬俑)을 만들고 “분서갱유(焚書坑儒)”를 하였다.
8. 진 2세 ( 秦二世, qín’èr shì )
이름은 胡亥 이고 진시황의 아들이다 . 진나라 두번째 황제로서, 그는 赵高 를 중용하고 폭정을 실행하여 인민들은 자주 봉기하여 반항을 일으켰었다 . 그가 재위한 3년에 赵高 의 핍박에 못 이겨 자살을 하였다 .
9. 유방 ( 秦二世, qín’èr shì )
중국 한조 (漢朝)의 개국 황제로 군대를 이끌고 잔혹한 진시황(秦始皇)의 통치에 반항하여 싸웠으며 진나라가 멸망한 후에도 항우(項羽)와 4년간의 초한전쟁(楚漢之爭)을 거쳐 장량(張良),한신(韓信)등의 협조하에 끝내 항우를 물리치고 한조를 건립하였다. 역사상에서 그를 “한고조(漢高祖)”라고 한다.
10. 유자유영 ( 孺子刘婴,rú zǐ liú yīng )
서한 ( 西汉)의 마지막 황제이다. 평제( 平帝 )가 독사한 뒤 2살 때에 황제가 되었으나 왕망( 王莽 )의 톨제를 받았다. 그뒤로 왕망은 그를 폐위시키고 방 안에 갇아두었고 15살때 비참하게 살해되었다.

 

11. 왕망 ( 王莽, wáng mǎng )
서한 귀족으로서 , 그는 한조 왕위를 탈취하고 새로운 조대를 건립하였지만 일련의 혼란한 제도개혁을 실행하게 되자 赤眉、 绿林 등이 인민봉기를 일으켰다 . 绿林 군이 장안을 공략하자 자살 하였다 .
12. 유수 ( 刘秀, liú xiù )
역사에서 한광무제라 하며 , 그는 西汉 왕족 출신으로 绿林 봉기군에 참가하고 왕망을 격파하여 东汉 을 세웠다 . 그는 재위기간에 경제를 회복하고 중앙 세력을 강화하였으며 아주 현명한 군주였다.
13. 한헌제 ( 刘秀, liú xiù )
东汉 의 마지막 황제로서 , 그가 재위하는 기간에 국가형세가 혼란하고 동탁, 조조에 의해 조종되었다. 그의 마지막 왕위는 조배한테 빼앗기고 山阳公 으로 봉하여졌다 .
14. 조배 ( 曹丕,cáo pī )
삼국시기 조조의 아들이다 . 그는 이름난 시인이며 조조를 계승하여 동한의 황제를 폐위시키고 황제라 자칭하였다.
15. 유비 ( 曹丕,cáo pī )
촉나라 군주이다 . 한 나라 황실후예이며 인품이 좋아 인심을 얻었고 제갈량의 보좌하에 四川 ( 사천 )을 획득하고 초한 ( 蜀汉 )을 세웠다. 白帝城 ( 백제성 )에서 병사하였다.
16. 손권 ( 曹丕,cáo pī )
오 나라 군주이다 . 그는 용망하게 싸움을 잘하였으며 적벽대전( 赤壁之战 )에서 조조를 격파하면서 삼국을 정립하였다. 훌륭한 외교로 조조를 반격하는 한편 유비에게 저항하였으며, 오 나라를 세웠다.
17. 유선( 刘禅, liú chán )
유비의 아들로서 , 삼국 蜀汉 ( 촉한 )의 마지막 황제였던 그는 평범하고 무능하여 재위기간 전반부는 제갈량에 의해 국가를 다스렸고 후반부에는 욕심부리며 향락을 누렸다. 위나라가 침략해 들어오자 촉한은 위나라에 투항하였다.
18. 조환 ( 曹奂, cáo huàn )
조조의 손자로 삼국시기 위나라 마지막 황제이다. 서기 258년 사마소가 황제인 曹髦 를 살해하고 조환을 황제로 추천하여 옹립하였고 사마소의 꼭두각시 놀음을 하였다. 265년에 사마염에 의해 황제의 자리를 빼앗겼으며 진류왕으로 봉해졌다.
19. 손호 ( 孙皓,sūn hòo )
삼국시기 오 나라 황제였고 손권의 손자이다 . 재위했을 때, 전횡적이고 잔학하였으며 사치하고 방탕한 생활을 하였다. 서기280년 사마염( 司马炎 )의 출병하여 오 나라를 공격하였고 손호는 투항하여 신하가 되었으며, 그뒤 낙양( 洛阳 )에 거주하였고 283년에 낙양에서 병사하였다.
20. 진무제 사마염 ( 司马炎, sī mǒ yán )
晋朝 ( 진나라 )를 세웠고 사마소 ( 司马昭 )의 큰 아들이었다. AD 265년부터 290년까지 재위하였고 AD 265년에 폐위되었으며 조환은 황제로 자칭하였다. AD 280년, 오 나라를 멸망시킨 뒤 전국을 통일하였다.
21. 진민제 사마서 ( 司马邺, sī mǎ yè )
서진 ( 西晋 )의 마지막 황제이다. AD 312년 유요( 刘曜 )가 낙양성을 공략하고 진회제( 晋愍帝 )가 포로된 뒤 살해 되었다. 사마서는 장안( 长安 )에서 즉위하였다. AD 317년 8월, 유요가 장안을 공격하였고 그가 투항함으로써 서진( 西晋 )이 멸망되었다.
22. 진원제 사마예 ( 司马睿,sī mǎ ruì )
AD 318년, 진민제( 晋愍帝 )가 북방에서 피살된 뒤 사마예는 왕씨 가족의 지지하에 지금의 남경( 南京 )에서 황제로 자칭하고 동진을 세웠다. 일부 세족들은 토지를 겸병하는 가운데서 모순이 깊어갔고 나중에 내분이 일어났다. 사마예는 번민으로 46세에 죽었다.
23. 진공제 사마덕문 ( 司马德文, sī mǎ dé wén )
동진 ( 东晋 )의 마지막 황제이다. 318년 안제가 죽은 뒤 유욕( 刘裕 )은 그를 황제로 즉위시켰으나 420년 6월 유욕은 황제로 되기 위하여 그에게 황제 자리를 양보하게 하였고 그를 동진왕( 东晋王 )으로 봉하였다. 이듬해에 피살되었고 동진( 东晋 )은 멸망되었다.
24. 송무제 유욕 ( 刘裕, liú yù )
동진 ( 东晋 )후기, 대장 유욕은 조정 대권을 틀어쥐었다. 그는 몇년간 시간을 들여 남방의 할거 역양을 소멸하였다. AD 420년, 유욕은 즉위하여 황제로 되었고 국호를 송( 宋 )으로 바꾸었으며, 그가 바로 송무제이다.
25. 진후주 진숙보 ( 陈叔宝, chén shū bǎo )
( 南 )나라의 마지막 황제이다. 남경( 南京 )에서 그는 황제로서 국가대사를 관리하지 않고 매일 술을 마이고 향락만을 일삼는 풍류를 즐기는 천자였다. 후에 수( 隋 ) 나라에 의해 멸망되었다.
26. 양견 ( 杨坚, yáng jiān )
隋文帝 ( 수문제 ), 수나라( 隋朝 ) 의 건립자로서 , 그는 중국을 통일하고 장기간의 분열국면을 결속하였다. 그는 인민에게 많은 관심을 가진 현명한 군주였다. 24년 재위하고 아들 杨广 에 의해 살해되었다 .
27. 수양제 ( 隋炀帝 suí yáng dì )
이름은 杨广 이고 隋文帝 ( 수문제 )의 아들로서, 유명한 폭군이었다. 그는 사치하고 잔혹하였으며 대운하를 수리하고 고려에 대해 전쟁을 일으켰으며 농민봉기를 야기시켰다. 마지막에 반란군에 의해 살해되었다.
28. 이연 ( 李渊, lǐ yuān )
唐高祖 ( 당고조 )로서, 그는 용속하고 무능하였습니다. 아들 이세민에 의해 당나라를 세웠으며 중국을 통일하였다. 그가 재위한 9년에 핍박에 왕위를 아들 이세민에게 넘겨주었고 태상황으로 봉하여졌다.
29. 당애제 이축 ( 李拀,lǐ chù )
( 唐 ) 나라의 마지막 황제이다. 904년에 즉위하여 4년간 재위하엿다. 907년의 주온( 朱温 )에서 황위를 양보하였고 908년으로 17살밖에 되지 않은 나이에 주온에게 살해되었다.
30. 후량태조 주온 ( 朱温, zhū wēn )
907년, 주온은 당애제( 唐哀帝 )를 페위시키고 后梁 (후량)을 세우고 황제로 자칭하였다 . 중국은 이로써 오대십국( 五代十国 ) 시기로 들어섰고 그는 나중에 아들 주우구( 朱友球 )에게 살해되었다.
31. 남당후조 이욱 ( 李煜, lǐ yù )
남당 ( 南唐 )의 마지막 황제이며 남당후제로 불리웠다. 나중에 송( 宋 ) 나라가 남당을 멸망시키고 그도 독살당하였다. 이욱은 오대( 五代 )의 이름난 시인이었고 그의 작품은 지금까지 전해져오고 있다.
32. 요태조 예진아보기 ( 耶律阿保机,yē lǜ’ā bǎo jī )
( 辽 ) 나라의 첫 황제이며 요태조로 불리웠다. 그는 거란족( 契丹族 )이다. 무력으로 거란의 여러 부락을 통일하고 916년, 그는 황제로 등극하였고 거란국( 契丹国 , 그후에 요로 바꿨다 . )을 세웠다.
33. 요천조제 예진연희 ( 耶律延禧, yē lǜ yán xǐ)
24년간 재위하였으며, 그는 참언을 믿고 여색을 좋아하였다. 후에 金国 (금나라)이 동경( 东京 )을 탈취하고 요동( 辽东 )지역을 점령하였다. 1125년 그는 금나라의 포로가 되면서 요나라가 멸망되었으며, 52세인 1126년에 사망하였다.
34. 조광윤 ( 赵匡胤, zhào kuāng yìn )
그는 진교병변 ( 陈桥兵变 )을 일으켰고 황제가 되었다. 그는 “ 杯酒释兵权 (술자리를 빌러 병권을 내 놓게하다)”으로 부하 장령들인 석수신, 왕심기 등에게 병권을 내놓도록 하고 중앙집권을 세웠다.
35. 휘흠 2제 ( 徽钦二帝, huī qīn’èr dì )
宋徽宗 ( 송휘종 )과 宋钦宗 ( 송흠종 )의 부자를 가리키며 北宋 ( 북송 )의 마지막 두 황제로서, 그들은 평범하고 무능하여 북송이 금나라에 멸망될 때 금나라에 포로로 붙잡혀 갔고 차례로 학대 받아 죽었다.
36. 이원호 ( 徽钦二帝, huī qīn’èr dì )
이는 당항족 ( 党项族 ) 사람이며 바로 서하왕( 西夏王 )이다. 후에 당항 내부가 분열되어 그는 일부분의 당항인을 모아 세력을 계속 키웠다. 그뒤에 요 나라에 투항하여 하국왕( 夏国王 )으로 봉해졌으며 서하태조로 불리웠다.
37. 서하말주 이현 (李睍, li xiàn)
서하의 마지막 황제이다 . 황위를 계승하고 갓2년이 지나 몽골에게 멸망되었고 1227년 그는 몽골인에게 살해되었으며 묻힌 곳은 찾아내지 못하였다.
38. 금태조 완안아골타 ( 完颜阿骨打, wán yán’ā gǔ dā )
그는 금 ( 金 ) 나라을 세웠다. 그는 탁월한 정치, 군사 재능을 가지고 있었으며 여진( 女真 )의 군사력을 계속 강화하여 점차 근처의 부락을 통일시켰다. 1115년, 아골다는 황제가 되었고 국호를 대금( 大金 )이라고 하였다.
39. 금말제 완안승린 ( 完颜承麟, wán yán chéng lín )
( 金 ) 나라의 마지막 황제이며 중국 역사에서 재위시간이 가장 짧은 황제이다. 그는 재위하여서부터 세상 뜰때까지 하루도 걸리지 않았다. 1223년, 몽골이 채주( 蔡州 )를 공략하였고 그는 임시로 황제로 봉하여 졌으며 결국 전투에서 희생되었다.
40. 조구 ( 赵构, zhào gòu )
宋高宗 ( 송고종 ), 宋徽宗 ( 송휘종 )의 아들이었다. 北宋 ( 북송 )이 金朝 ( 금나라 )에 의해 멸망된 후 그는 南宋 ( 남송 )을 세웠다. 그는 금나라와 화해하기 위해 명장 악비를 살해하였으며, 그가 재위한 36년에 왕위를 태자 赵慎에게 넘겨주었다 .
41. 송제 조병 ( 赵昺, zhào bǐng )
남송 ( 南宋 ) 말년, 임안( 临安 )은 원( 元 ) 나라에 점령되고 대신은 9살밖에 되지 않은 조병을 호송하여 복주( 福州 )로 도망가서 옹립하여 조병을 즉위 시키고 원 나라에 저항하였다. 나중에 탈출하는 가운데서 어린 조병은 놀림을 받고 병사하였다.
42. 원세조 쿠빌라이칸 ( 忽必烈, hǔ bīliè )
쿠빌라이칸은 칭기즈칸 (成吉思汗)의 손자이다. 그의 지도하에 몽골을 통일 하였으며 1271년에 국호를 대원 이라고 정했다. 이듬해, 대도(大都: 지금 북경)에 도읍하였다. 원(元)나라는 중국 역사에서 최초의 소수민족이 전국을 통치하던 왕조였다.
43. 원순제 타목어을 ( 帖睦尔, tiē mù ěr )
( 元 ) 나라 마지막 황제이며 1333년에 황위에 즉위하였으나 정사에 게으르고 향락만 일삼아 세월을 보냈으며 백성들을 핍박하였다. 그리하여 홍건군( 红巾军 ) 봉기가 일어나게 되었다. 그는 35년간 재위하였고 후에 명( 明 )나라에 의해 멸망되었다.
44. 명태조 주원장 ( 朱元璋, zhū yuán zhāng )
명태조로 명 ( 明 ) 나라를 세웠다. 그는 농민 가정에서 태어났고 승려를 한적도 있었다. 황제가 된 후 공을 많이 세운 대신들을 죽였고 문자옥( 文字狱 ) 을 대거 실시하여 사람들의 사상을 통제하였다.
45. 숭정제 ( 朱元璋, zhū yuán zhāng )
明思宗 으로 , 明朝 ( 명나라 ) 최후의 황제로서, 그는 명나라를 진흥시키고 싶었으나 농민봉기군과 청군의 양면 작전에 실패하여 핍박에 자살을 하였고 명조가 멸망하게 되었다.
46. 청태조 누르하치 ( 努尔哈赤, nú’ ěr hā chì )
이름은 애신각라 ( 爱新觉罗 )이며 여진( 女真 )인이다. 그는 청( 清 ) 왕조의 기초를 다져놓았고 25살 때, 조거( 祖居 )에서 군사를 일으켜 여진의 각 부락을 통일하여 중국 동북 지역을 평정하였다. 1616년 그는 후금( 后金 ) 정권을 세웠고 이는 청 나라의 전신( 前身 )이 되었다.
47. 부의 ( 溥仪, pǔ yí )
청조 마지막 황제이자 “만주국” (偽滿洲國) 의 황제로서 3살때 즉위 하였으며 중화민국창립후 황제된지 3년도 안되어 부의가 퇴위하였다. 자서전으로는 “나의 전반생(我的前半生)”이 있다.



▒ 중요역사사건 ▒

 

1. 기 가 선양제도를 파괴하다 ( 启破坏禅让制度,qǐ pò huài shàn ràng zhì dù )
大禹 의 아들 启 는 부락 수령이 된후 기존의 세습제도를 실시하지 않고 (즉, 수령을 추천하는 방법) 새로운 세습제를 실시해 자기의 아들이 부락 수령의 직위를 계승하게 하였다. 이로부터 원시사회가 결속되고 노예사회가 시작되였다.
2. 소강중흥 ( 少康中兴,shào kāng zhōng xīng )
하나라 중기 浇라고 하는 사람이 수령 자리를 탈취하였다 . 夏禹 ( 하우 )의 후대 少康은 아주 총명하였으며 꼭 원수를 갚고 원한을 풀겠다는 결심을 하였다. 십몇년의 노력과 준비를 통해 그는 결국 浇 를 물리치고 하나라를 회복하였다 .
3. 상탕혁명 ( 商汤革命,shāng tāng gé mìng )
하나라 말년 수령 夏桀 (하걸)은 아주 잔혹하고 포악하였으며 늘 인민을 억압하여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집과 가족을 잃게 하여 생활에 어려움을 더했다. 그리하여 商 부락의 수령 商汤 은 부락의 사람들을 거느리고 하나라에 대항하였다 . 결국 夏桀 은 패하고 두번째 노예사회인 상나라가 건국되었다 .
4. 반경이 수도를 옮기다 ( 商汤革命,shāng tāng gé mìng )
상나라가 건국된 후 수도는 아주 불안정하여 자주 옮기게 되었다 . 그 주요 원인으로는 왕족 내부의 빈번한 왕위쟁탈전과 잦은 내부 분쟁이었다. 후에 반경이 왕위에 오르고 수도를 殷 (은)으로 옮긴후 상나라는 안정되었다 .
5. 무정성세 ( 武丁盛世,wǔ dīng shèng shì )
상나라 왕 武丁 은 정치 능력이 뛰어난 군주였으며 원대한 정치적인 이상이 있었다 . 그는 인민들의 고초를 이해하였으며 재능이 있는 사람을 임용하였다. 그리하여 그의 노력은 백성들이 안정된 생활을 지내게 하고 제후들이 충성하였으며 상나라는 번영을 이루었다.

 

6. 노예들의 반란 ( 奴隶倒戈,nú lì dǎo gē )
상나라 말년 纣王 (주왕)은 매우 잔혹하였으며 매일 술마시고 여자를 가까이 하며, 국가대사에 관심을 갖지 않았다. 그리하여 주무왕은 상나라를 진공하였다. 纣王 은 임시적으로 노예들의 군대를 조직하였는데 전쟁터에서 노예들은 주무왕에게 투항하고 주 나라 군대를 인도하여 상 나라를 멸망시켰다 .
7. 갑골문자 ( 奴隶倒戈,nú lì dǎo gē )
이것은 河南安阳 (하남 안양)에서 발견한 일종의 고대 문자로서 동물들의 뼈에 새겨진 문자이다. 검증에 의하면 갑골문자는 아주 잘 표기되어 있으며 상 나라 시기에 사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갑골문자는 중국에서 사용된 최초의 문자이다.
8. 주나라 무왕이 상나라 주왕을 토벌하다 (武王伐纣,wǔ wáng fá zhòu )
商纣王 (상주왕)의 잔혹한 통치는 많은 제후국의 불만을 샀다. 周武王(쩌우우왕)은 姜子牙(강태공)의 보좌하에 많은 노력과 준비를 거쳐 주나라를 강대하게 만들었으며 군대를 지도하여 상 나라를 이기고 중국 역사상 세번째 노예제 국가인 주나라를 건립하였다.
9. 봉화로 제후들을 놀리다 ( 烽火戏诸侯,fēng huǒ xì zhū hóu )
周幽王 (주유왕)은 褒姒 (포사)를 아주 좋아하였는데 포사는 좀처럼 웃지 않았다. 따라서 주유왕은 봉화를 지펴 제후들을 놀리여 끝내 포사를 웃게 하였다. 후에 전쟁이 일어났어도 제후들은 구하러 오지 않았고 두 사람은 적군에게 살해 되었다.
10. 구구승법표 ( 九九乘法表,jiǔ jiǔ chéng fā biǎo )
春秋时期(춘추시기)에 발명한 것으로 전국시기에 구구승법표의 어구가 아주 유행되었다. 어구의 첫 두 글자가 “구구”로 시작되어 승법표의 약칭을 “구구”라 하였다.

 

11. 상영변법 ( 商鞅变法,shāng yāng biàn fǎ )
진 나라의 秦孝公 (진효공)은 왕위에 오른 후 진 나라를 강대하게 만들려는 마음으로 商鞅变法 을 실시하고 낡은 제도를 개혁하였다 . 商鞅变法 을 통해 진나라는 경제가 발전하고 강대한 나라가 되었다 .
12. 백가쟁명 ( 百家争鸣, bǎi jiā zhēng míng )
춘추전국시기 여러 나라에는 대량의 학술파가 나타났는데 그들은 자유로 책을 쓰고 도처에서 자기들의 사상과 주장을 선전하여 여러 관점이 공존하는 현상이 나타났는데 이것을 百家争鸣 라 한다 .
13. 불교의 중국 전래 ( 佛教传入中国, fó jiào chuán rù zhōng guó )
서기 67년에 东汉 ( 동한 ) 汉明帝 ( 한명제 )가 꿈에서 거대한 금으로 만든 사람이 날아다니는 걸 보았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금으로 만든 사람은 천죽에서 온 부처라고 한다. 그리하여 한명제는 사람을 파견하여 천죽으로 가 불경을 가져오게 하였다. 이때부터 불교가 중국에 전파해 들어오고 점차 커다란 발전을 가져왔다.
14. 분서갱유 ( 焚书坑儒,fén shū kēng rú )
진시황 (秦始皇) 은 이사 (李斯) 의 건의에 따라 진 (秦) 나라에 관련되지 않는 역사 서적 , 시집 및 제자백가서( 诸子百家书 )들을 모두 불태웠으며 이를 반대하는 방사와 유생 460명을 생매장하였다. 이를 두고 분서갱유 (焚書坑儒) 라 한다 .
15. 당시 ( 唐诗,táng shī )
(唐 )나라는 중국 시가(時歌) 역사의 황금시기였다. 2천여명 시인과 5만여수의 시가(時歌)는 오늘까지 전래(留傳)되어 왔다. 당 (唐 )나라에서 가장 유명한 시인으로는 시선 이백(詩仙 李白), 시성 두보(詩聖 杜甫), 시사 백거이(時史 白居易)이다.

 

16. 송 (宋)나라의 명절풍속 ( 宋代节日风俗, sòng dài jié rì fēng sú )
(宋) 나라때부터 설날에 폭죽을 터뜨리고 대문 (문) 양옆에 글을 써 붙이는 풍속이 전래(留傳)되어 왔으며 상원절(上元節)의 등불회, 청명절 산소 벌초, 칠월칠석(七月七夕) 등 풍속은 더욱더 성행하였다.
17. 활자인쇄술 ( 活字印刷术, huó zì yìn shuā shù )
인쇄술은 중국 고대 4대 발명품 중의 하나이다. 중국은 일찍부터 인쇄술이 있었지만 효율이 낮았다. 송 나라에 와서 필승(畢昇)이 찰흙으로 활자인쇄술을 발명하여 인쇄효율을 높였고 문화의 전파를 촉진하였다.
18. 군현제 ( 郡县制, jùn xiàn zhì )
중국을 통일한 후 진시황 (秦始皇)은 관리를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지역에 “제후를 봉하고 반위을 세운다(封諸候, 建藩衛)”제도를 페쇄하고 전국을 최초로 36개현으로, 후에 40개현으로 나누어 중앙집권을 이루었다.
19. 화폐 , 도량형 통일 ( 统一货币、度量衡, tǒng yǐ huò bì、dù liàng héng )
(秦) 나라가 육국을 통일하기 전에 화페가 아주 많았고 모양, 크기, 무게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경제발전에 불리한 면이 많았다. 통일한 후 전국 화페가 통일되었고 이름을 “원형방공전(圓形方空錢)”이라 불렀다. 이런 화폐(錢)를 2천여년 사용되여 왔다. 도량형의 통일로 나라의 발전, 교류에 큰 도움이 되었다.
20. 문자통일 ( 统一文字, tǒng yǐ wén zì )
전국시대는 장기적으로 분열되여 있는 시대였고 동방 육국의 문자는 쓰기도 어렵고 보기도 편리하지 않을 뿐더러 문자도 서로 다른 것이다 . BC 221년 진시황 (秦始皇) 이 글자체를 진소전(秦小篆)으로 통일하였고 이를 문자표준으로 정하였다.

 

21. 만리장성 축조 ( 修筑长城, xiū zhù cháng chéng )
북방 소수 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진시황은 법령을 내려 6국의 장성을 이어놓아 북방의 군사방어를 구축하였다. 장성을 수축(修築)하는데 수없이 많은 인력과 재력이 투자 되었다. 이로 하여 진(秦)나라 국고가 텅 비어 사람들의 불만도 많았다.
22. 초한 전쟁 ( 楚汉之争, chǔ hàn zhī zhēng )
BC 206년~BC 202년, 유방( 劉邦 )과 항우(項宇)는 황제 자리 쟁탈때문에 4년동안 전쟁을 벌렸는데 이를 보고 초한의 전쟁(楚漢之爭)이라고 한다. 최후에 유방( 劉邦 )은 숙하(肅何), 장량(張良), 한신(韓信)등의 도움을 받아 항우(項宇)를 대파하고 한(漢)나라를 세웠다.
23. 패왕별희 ( 霸王别姬, bà wáng bié jī )
항우 (項宇)는 유방( 劉邦 )에게 패배한 후 깊은 밤에 도망갈 수 밖에 없었다. 항우(項宇)의 애첩 위희(虞姬)는 부담주지 않으려고 자살하였고 항우(項宇)는 눈물을 흘리며 위희(虞姬)와 헤어졌다.
24. 백가를 폐지하고 유가만 숭상한다 ( 罢黜百家、独尊儒术, bà chù bǎi jiā、dú zūn rú shù )
한무제 (漢武帝)시대, 대신 동중서는 한(漢)나라에 사상파벌이 너무 많으면 백성을 관리하는데 불리할 거라고 생각하여 다른 학파들을 폐지하고 유가(儒家)만 남길 것을 주장하였다. 한무제(漢武帝)는 이를 승낙하였으며 유가(儒家)사상은 중국 봉건시기의 통치사상으로 되었다.
25. 사마천의 사기 ( 司马迁-史记, sī mǎ qiān –shǐ jì )
서한 사마천 (司馬遷) (BC 145 - BC 87?),자는 자장(字 子長)이며 그의 저작 ≪사기(史記)≫는 중국 기전체 역사학과 전기문학도 개척하였다. 책에서는 황제(黃帝)부터 시작하여 한무제 (漢武帝) 까지 약 3천여년의 역사를 기록하였으며 책은 도합 103편 50여만자로 되어있다.

 

26. 안사의 난 ( 安史之乱, ān shǐ zhī luàn )
서기 775년 당 나라의 장군 안녹산(安祿山)이 일으킨 반란으로 후에 그의 부하 사사명(史思明)도 반란에 참가하였다. 이 반란은 당(唐)나라의 통치를 뒤흔들었으며 쇠퇴의 길로 나아가게 하였다.
27. 양세법 ( 两税法, liǒng shuì fǎ )
양세법 ( 兩稅法 ) 은 당 (唐) 나라후기의 부역 (賦役)제도이며 당 나라 재상 양염건(양염건)이 건의한 부세(賦稅)제도이다. 양세법( 兩 稅法 ) 은 귀족 , 관료, 고객, 상인들은 모두 세를 내야 하며 빈부의 차이에 따라 부세(賦稅)를 징수하여 나라의 수입을 늘였다.
28. 제지술 ( 造纸术,zào zhì shù )
동한때 대신인 채륜 (蔡倫)은 서한때부터의 제지경험을 모아서 제지기술을 개진하고 나무껍질, 넝마, 삼, 그물 등 원료를 정제하여 품질이 좋은 종이를 만들었다. 이는 중국 4대 발명중의 하나이다.
29. 군영을 불태우다 ( 火烧连营,huǒ shāo lián yíng )
유비는 제갈량과 조운의 권고를 듣지않고 군사 70여만명을 거느리고 东吴 (뚱우)를 직접 치러 갔다. 적을 멸시하고 소홀히 한 탓에 东吴 (동오)의 陆逊 (루슌)이 유비의 군영에 불을 질러 유비는 대패하고 돌아갔다.
30. 맹획을 7번 사로잡다( 七擒孟获,qī qín mèng huò )
소수민족의 수령 孟获 (맹획)이 반란을 일으켰다. 제갈량은 이의 마음을 공략하는 방법을 생각했다. 7번 맹획을 사로잡았으나 7번 모두 놓아주었다. 마지막에 맹획은 이에 감동받아 다시는 반란을 일으키지 않겠다는 맹세를 했다.

 

31. 기산에 6번 출병하다 ( 六出祁山,liù chū qí shān )
제갈량은 한 나라를 진흥시키기 위하여 조조를 이기고 6차례에 걸쳐 군대를 거느리고 祁山 (기산)에서 조조의 대장 사마의와 전추를 벌였다. 제갈량의 다양한 지략으로 위군은 여러 차례 패배하였으며 사마의는 별다른 방법이 없었다.
32. 명장성 수축 ( 六出祁山,liù chū qí shān )
북방 몽골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명 (明)나라는 건국초기부터 거용관(居庸關)등 여러 곳의 장성을 수축(修築)하기 시작하였다. 그후로 역대 황제들은 여러 차에 거쳐 장성을 수축(修築)하여 200여년을 거쳐 명장성(明長城)의 모든 공정을 마쳤다. 명장성(明長城)은 서쪽 가욕관( 嘉碇關 )에서 동쪽 압록강(鴨綠江)에 이르러, 전체 거리가 약 6700 km나 된다.
33. 통일 6국 ( 统一六国,tǒng yī liù guó )
BC 221년 진시황 (秦始皇) 은 주변에 있는 6개국을 통일하여 중국 역사 최초의 봉건국가를 세웠으며 자신을 황제(黃帝)로 칭하고 지고무상(至高無上)의 통치자가 되었다.
34. 진왕이 6국을 멸하다 ( 秦王灭六国,qín wáng miè liù guó )
BC221년 진시황은 십년의 전쟁을 거쳐 비교적 규모가 큰 다른 6개 나라를 소멸하고 마침내 6국을 통일하고 중국 역사상 처음으로 통일된 봉건 국가를 건립하였다. 군주는 “황제”로 불리웠으며 지고무상한 통치자가 되었다.
35. 대택향의 난 ( 大泽乡起义,dà zé xiāng qǐ yì )
BC 209년 진승(陳勝), 오광(吳廣)은 농민 900명과 함께 변경을 지키도록파견받았다. 그런데 대택향에서 큰 비를 만나서 제시간에 목적지에 도착할 수 없었다. 진 (秦) 나라 법율에 따르면 죽을 죄를 진 것이다 . 그래서 진승(陳勝), 오광(吳廣)은 농민 900명을 거느리고 중국 역사상 최초의 농민반란를 일으켰다.
36. 아방궁을 불태우다 ( 火烧阿房宫,huǒ shāo’ē fáng gōng )
전하는 말에 의하면 , 항우가 진나라 수도를 공략할 때 진시황이 지은 阿房宫 을 불태워 버렸다고 한다 . 불은 거의 3개월 동안 타고 나서야 꺼졌다고 한다.
37. 홍문연 ( 鸿门宴, hóng mén yàn )
유방과 항우가 권력쟁탈을 하였다 . 项伯 (항백)은 유방을 대신해 항우에게 청을 했다. 그리고 유방이 鸿门宴 에 참석하여 항우에게 감사드리게 하였다 . 하지만 항우는 유방을 죽이려 하였다. 그러나 결국 유방을 놓지고 말았다. 후에 사람들은 위험한 연회를 鸿门宴 (홍문연)이라 한다.
38. 거록지전 ( 巨鹿之战,jù lù zhī zhàn )
BC 207년 항우( 项羽 )는 거록 (巨鹿) 에서 적은 군사역량으로 진 (秦) 나라 주력군을 전멸하여 농민전쟁의 국면이 바뀌였으며 진 (秦) 나라의 부패한 통치의 멸망을 결정지었다 .
39. 장건이 사절로 서역에 파견되다 ( 张骞出使西域,zhāng qiān chū shǐ xī yù )
서역의 상황을 이해하고 서역의 나라들과 공동으로 흉노의 침범을 대항하기 위하여 BC 138년, 119년 한무제(漢武帝)는 장건 (張騫) 을 서역에 두번 파견하였다 . 이는 서역과 내륙의 연계를 공고히 하였고 한(漢)나라의 변방도 안정되었다. 
40. 문경의 치 ( 文景之治, wén jǐng zhī zhì )
한무제 (漢武帝)와 한경제(漢景帝)는 아주 뛰여난 재간을 지닌 황제로써 사회생산을 중시하고 인민의 질고를 관심하였으며 많은 곳들에서 세를 감소시키고 심지어 땅세도 받지 않았다. 이로하여 나라가 부강해졌고 봉건왕조의 가장 번영한 모습을 보였다.

 

41. 위청과 곽거병이 흉노에 저항하다 ( 卫青.霍去病抗匈奴,wèi qīng huò qù bìng kàng xiōng nú )
위청 (爲靑) 과 곽거병 (藿去病) 은 한 나라의 장군이었다 .이들은 중원(中原)에까지 침입하여 온 중국 북방 국경의 흉노들의 정벌에서 전공을 세웠고 흉노들을 북방 국경밖으로 쫓아 냈고 중원의 안전을 확보하였다.
42. 왕망의 제도 개혁 ( 王莽改制, wáng mǎng gǎi zhì )
(漢) 나라 말년 , 외친왕(外親王) 왕망(王莽)은 황제권력을 빼앗았다. 왕망은 정전제(井田制), 화페제도의 개혁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개혁은 결과적으로 사회모순을 해결하지 못한채 실패하였고 나라도 멸망되었다.
43. 녹림 , 적미의 난 (绿林,赤眉起义, lǜ lín, chì méi qǐ yì )
왕망 (王莽)의 잔인한 압박과 여러 자연재해 때문에 농민들은 극도의 생활고에 빠져 결국 곳곳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동부와 남부에서는 많은 농민들이 정부군에 반항하였다. 서기 17년, 왕광(王匡), 왕봉(王鳳)은 난민을 모아 녹림 (綠林) 을 점령하고 눈썹을 빨갛게 물들이고 왕망(王莽)의 통치에 반항하였다. 이를 녹림 (綠林), 적미(赤眉)의 난이라 한다.
44. 광무중흥 ( 光武中兴, guāng wǔ zhōng xīng )
서기 25년, 유수(劉秀)가 권력을 탈취하고 동한을 세웠다. 그는 왕망(王莽)의 실정을 교훈 삼아 백성들에 유리한 정책을 실시하여 나라를 안정시키고 백성들이 생산활동에 종사시켰다. 이리하여 나라는 번영부강한 모습을 보였다. 유수가 국호를 광무 (光武) 라 해서 “광무중흥 (光武中興) ”라 부른다.
45. 나침판 ( 指南针,zhǐ nán zhēn )
지남침은 중국 4대 발명품중 하나이다. 최초의 나침판은 사남(司南)이라고 불렀고 이는 자석으로 만들어 졌으며 전국시대 보편적으로 사용되였다. 그후에 이를 방향판에 설치하여 나판(羅盤)이라 불렀다.

 

46. 화약 ( 火药, huǒ yào )
화약은 중국 4대 발명품중 하나이다. 이는 련단사(煉丹士)들이 연단할 때발견하였다. 화약은 유황, 초석, 숯의 화합물이다. 당(唐)나라 말년, 화약은 이미 군사에 사용되었고 12, 13세기에 화약은 먼저 아랍 나라에 전해졌다.
47. 장형과 지동의 ( 火药, huǒ yào )
동한 (東漢) 시대의 유명한 과학자이다 . 그는 일생 동안 많은 것을 발명하였다. 그중 가장 중요한 발명품이 바로 지진을 예측할 수 있는 지동의 (地動儀) 이다. 이는 서방보다 1천여년 더 앞섰다. 지동의 발명은 자연재해로 인한 손실을 감소시켰다. 장형 (張衡) 은 또 혼천의(渾天儀)를 발명하였다.
48. 반초가 서역에 사절로 파견가다 ( 班超出使西域, bān chāo chū shǐ xī yù )
(漢) 나라의 쇠약으로 원래 서역으로 통하는 길은 흉노한테 빼았겼다 . 서기 73년 서역과의 재(再)교류를 위하여 한 (漢) 명제는 반초 (班超) 를 서역으로 파견하여 서역의 여러 나라와 연계하여 흉노를 전패하고 한 (漢) 나라를 발전시키려 하였다 .
49. 반고의 한서 ( 班固-汉书, bān gù- hàn shū )
동한 (東漢) 의 반고 (班固) (32~92)는 자가 맹견(孟堅)으로 그는《사기(史記)》의 체제를 배웠고 중국 최초의 단대사(斷代史) 《한서(漢書)》를 저작하였다. 《한서(漢書)》는 도합 共100편으로 되여 있으며 한 고조의 6년간의 통치로부터 왕망의 지황 4년, 모두 230년의 단대(斷代)역사를 썼다. 이는 중국 역사에서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50. 황건의 난 ( 黄巾起义,huáng jīn qǐ yì )
서기 184년, 장각(張角)은 “태평도(太平道)”를 이용하여 황건 (黃巾) 의 난를 발동하였다. 이는 동한 후기의 한차례 전국적인 농민 반란이었다. 반란군은 머리에 노란 수건으로 표시하였기 때문에 역사상 황건 (黃巾) 의 난이라 부른다.

 

51. 8왕의 난 ( 八王之乱, bā wáng zhī luàn )
서진 혜제 (西晉 惠帝)(291 - 306년)때, 통치자 내부에서 8명의 제후왕(諸候王)들은 최고의 통치권력을 쟁탈하기 위하여 여러차례 싸움이 일어났으며 16년동안이나 지속되었다. 이를 역사상에서 “8왕의 난 (八王之亂) ”이라고 부른다.
52. 비수지전 ( 淝水之战, féi shuǐ zhī zhàn )
서기 383년, 전진(前秦)왕 부견(符堅)은 장안에서 대신들과 동진(東晉)을 공격할 것에 대해 상의하였다. 부견은 전진에서 97만명의 대군을 동원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고 친히 군사를 거느리고 천하를 통일하려고 하였다. 동진은 사현사염(謝玄謝琰)과 근이(槿伊)는 8만명 부대를 거느리고 진군에 저항하여 비수에서 적은 병력으로 많은 병력을 격파하였다.
53. 북위효문제개혁 ( 北魏孝文帝改革, běi wèi xiào wén dì gǎi gé )
북위 (北魏)가 북방을 통일한 뒤 위효문제는 한차례 정치, 경제, 문화에 대한 개혁을 진행하였다. 동화(同化)하고 한족의 복장을 입고 한족말을 하는 등 여러가지 이풍이속(移風移俗)의 개혁을 진행하였으며 균전제(均田制)등 정책을 실시하였다.
54. 대운하개통 ( 开通大运河, kāi tōng dà yùn hé )
수양제 (墮煬帝)가 즉위한뒤 남북 교통을 편리하게 하고 남방의 곡식을 북방으로 옮기기 위하여 대운하를 파기로 결정지었다. 경항대운하는 북쪽의 북경에서 남쪽의 항주까지 길이가 1천여Km로 세계에서 가장 긴 운하로 뽑힌다.
55. 현무문의 변 ( 玄武门之变,xuán wǔ mén zhī biàn )
당고조 (唐高祖)가 전국을 통일한 뒤 태자 이건성(太子 李建成)과 진왕 이세민(秦王 李世民)은 황위쟁탈전이 일어났다. 그후로 이세민(李世民)은 현무문(玄武門)에서 정변을 일으켜 이건성(李建城)과 이원길(李元吉)을 죽이고 자신이 황제로 되었으며 이가 바로 당태종(唐太宗)이다.

 

56. 정관의 치 ( 开通大运河, kāi tōng dà yùn hé )
정관은 당태종 이세민 (唐太宗 李世民) 의 국호이며 서기 627년부터 649년까지 23년간 통치하였다. 당태종 (唐太宗) 은 개혁을 실시하여 중국 봉건사회에서 가장 번영한 단계에 이르게 하였다 . 역사상 이를 “정관의 치 (貞觀之治) ”라고 한다.
57. 개원성세 ( 开元盛世, kāi yuán shèng shì )
당현종 개원 (唐玄宗 開元, 713~741)은 정치가 안정되고 경제가 번영하여 문화가 창성하고 국력이 부강하였다. 이는 당(唐)나라 가장 강대한 시기였고 중국 봉건왕조의 가장 강성한 시기였으며 백성들의 생활이 부유한 시기였다.
58. 번진할거 ( 藩镇割据,fān zhèn gē jù )
번진체제 (藩鎭體制) 는 당 (唐)나라 중엽에 변방의 통치를 강화하기 위하여 전국 곳곳에 번진을 두었다. 그러나 지역의 지휘관들은 권력이 점차 커짐에 따라 당 나라의 통치를 받지 않으려 하였고 자체로 “작은 나라”를 세워 당(唐)나라에 혼란을 가져왔다.
59. 황소의 난 ( 黄巢起义,huáng cháo qǐ yì )
황소 (黃巢) 의 난은 서기 875년에서 884년에 거쳐 당(唐)나라말기에 한차례 당(唐)나라를 뒤엎는 농민반란이었다.
60. 석경당이 연운 16주을 할양받다 ( 石敬瑭割让燕云十六州, shí jìng táng gē ràng yān yún shí liù zhōu )
석경당은 후당 (後唐)의 대신이였지만 황제가 되기 위하여 후당을 배반하였다. 그는 거란( 契丹 )의 지원을 받기 위하여 자신보다 몇살 적은 야율득광(耶律德光)을 부황(父皇)으로 삼고 자기는 황자(皇子)가 되었으며 거란( 契丹 )으로부터 연운 (燕云) 16주를 할양받았다.

 

61. 진교병변 ( 陈桥兵变, chén qiáo bīng biàn )
주세종 (周世宗)이 죽은 후 조광윤 (趙匡胤) 이 대군을 거느리고 개봉(開封)부근의 진교(陳橋)에서 병변을 일으켰다. 조광윤은 송나라를 세웠고 황제가 되었다.
62. 술을 권하여 병권을 바치게 하다 ( 杯酒释兵权, bēi jiǔ shì bīng quán )
조광윤 (趙匡胤)이 송나라를 세운 뒤 석수신(石守信), 고회덕(高懷德)등 금(金)군의 장군을 남겨 술을 마시면서 그들게게 병권을 받치도록 암시를 주었다. 장군들은 핍박에 병권을 내 놓았으며 송태조(宋太祖)도 황권를 공고히 할 수 있었다.
63. 송요전연지맹 ( 宋辽澶渊之盟,liáo sòng chán yuān zhī méng )
1005년 송(宋)과 요 (遼) 는 전연에서 맹약을 맺고 형제나라로 호칭하였으며 정기적으로 사절을 파견하여 방문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송(宋)나라에 대하여서는 굴욕적인 합의였다.
64. 원호가 서하를 세우다 ( 宋辽澶渊之盟,liáo sòng chán yuān zhī méng )
서하 (西夏) 는 (서기1038~1227) 경종 이원호(景宗 李元昊)부터 시작하여 하말제(夏末帝)로 도합 10개 황제를 맞게 된다. 서하(西夏)는 탕구트족이 세운 나라이며 수도는 오늘의 녕하 은천(寧夏 銀川)이다. 최후로 몽골족한테 멸망되게 된다.
65. 왕안석변법 ( 王安石变法, wáng’ān shí biàn fà )
북송 신종 (神宗)은 왕안석 (王安石) 을 임명하여 변법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 변법에는 청묘법 (靑苗法), 모역법(募役法), 방전균세법, 농전수리(農田水利) 및 병법, 보갑법(保甲法) 등이 있다. 그러나 지주들의 반대로 변법은 실패하고 말았다.

 

66. 완안 아골타가 금을 세우다 ( 完颜阿骨打建立金, wán yán’ā gǔ dā jiàn lì jīn )
11세기 중엽 여진 완안부(女眞 完顔部)는 추장 아골타(酋長 阿骨打)의 지도하에 세력이 점차 커졌다. 1115년 원단(元旦), 아구다(阿骨打)는 황제로 호칭히고 국호를 금(金)이라고 하여 금태조(金太祖)로 되였다.
67. 왕소파 ,이순의 난 ( 王小波、李顺起义, wáng xiǎo bō, lǐ shùn qǐ yì )
왕소파 (王小波), 이순(李順)의 난은 북송이 세워진 후 얼마 되지 않아 일어난 농민반란이다. 사천(四川) 백성은 왕소파 (王小波) , 이순 (李順) 의 지도하에 반란을 일으켰다 . 이들은 “균빈부(均貧富)”라는 호소를 제출하였다. 그러나 반란은 최후에 진압되었다.
68. 정강의 변 ( 靖康之变,jìng kāng zhī biàn )
북송 말년 송휘종 (宋徽宗)은 금(金)나라 군대가 남벌(南伐)한다는 소식을 듣고 제위를 송흠종(宋欽宗)에게 양위하였다. 그들은 평화을 바랬고 저항하려 하지 않았기 때문에 금나라에 전패하고 두 황제를 포로로 잡았다. 이를 정강의 변 (靖康之變) ”이라 한다.
69. 악비가 금에 대항하다 ( 岳飞抗金, yuè fēi kàng jīn )
조구 (趙構)가 남경 응천부(南京 應天府)에서 즉위하고 남송(南宋)을 세웠다. 악비는 명을 받고 북벌(北伐)싸움에 나섰다. 악비 (岳飛) 의 지도하에 남송 (南宋) 군민은 금( 金 )나라에 빼았긴 많은 땅을 수습하여 왔으며 여러 차례로 금( 金 )나라 군대를 물리쳤다. 송고종(宋高宗), 진회(秦檜)는 악비 (岳飛) 가 거느리는 군대가 너무 많으면 자신들의 통치에 불리하다고 생각하고 금 ( 金 )나라와 화의하고 악비를 살해하였다.
70. 징기스칸의 몽고 통일 ( 成吉思汗统一蒙古, chéng jī sī hàn tǒng yǐ méng gǔ )
징기스칸 ( 成吉思汗 ) , 원명은 철목진 (鐵木眞) 으로 1206년에 몽골 역사에서 최초의 노예제 나라를 세웠고 각 부족의 추장(酋長)들은 철목진을 전(全) 몽골의 대한(大漢)으로 추대하여 “징기스칸(成吉思汗)”이란 칭호를 사용하였다.

 

71. 몽고가 서하를 멸하다 ( 蒙古灭西夏,méng gǔ miè xī xià )
징기스칸 (成吉思汗)은 중국을 통일하려 결심하였으며, 이에 따라 칭기스칸(成吉思汗)의 전략은 금 ( 金 ) 나라를 진공하기 전에 먼저 서하 (西夏)를 점령하는 것이었다. 1227년 징기스칸(成吉思汗)은 먼저 서하(西夏)를 점령하고 전국을 통일할 수 있는 기초를 닦았다.
72. 몽고가 금을 멸하다 ( 蒙古灭金, méng gǔ miè jīn )
몽금의 전쟁 (蒙金之戰)은 13세기 북방의 금(金)나라와 몽고사이의 전쟁이었다. 이 전쟁은 1211년 칭기스칸(成吉思汗)이 금(金)에 침입하기에 시작하여 1234년 금(金)나라가 멸망할 때까지 23년 동안 계속되었다.
73. 쿠빌라이칸이 국호를 원으로 정하다 ( 忽必烈定国号元,hǔ bī liè dìng guó hào yuán )
쿠빌라이칸은 징기스칸 (成吉思汗)의 손자이다. 그의 지도하에 몽골을 통일 하였으며 1271년에 국호를 대원이라 했다. 이듬해, 대도(大都: 지금 북경)에 도읍하였다. 원(元)나라는 중국 역사에서 최초의 소수민족이 전국을 통치하는 왕조였다.
74. 원나라가 남송을 멸하다 ( 元灭南宋, yuán miè nán sòng )
쿠빌라이칸은 원 (元)나라를 세운 뒤로 중국을 통일 하려고 군대를 거느리고 남하하였다. 1276년 림안을 공략하고 3년이라는 시간을 들여 애산(崖山)으로 도망간 간 남송 (南宋) 의 잔여세력을 소멸하여 전국을 통일하였다.
75. 홍건군의 난 ( 红巾军起义,hóng jīn jūn qǐ yì )
홍건군 (紅巾軍) 의 난 은 원 (元) 나라 말년에 일어난 농민전쟁이다. 1351년, 유복통(劉福通)은 백련교(白蓮敎)와 미륵교(彌勒敎)가 가난한 백성들을 거느리고 반란을 일으켰다. 반란군은 머리에 붉은 천을 둘렀기 때문에 “홍건군 (紅巾軍) ”이라 불렀다.

 

76. 명나라를 세우다 (明朝建立,ming chao jian li)
홍건군 (紅巾軍) 이 반란할 때 , 주원장(朱元章)의 반란군도 급속히 발전하였다. 1368년 정월 주원장은 남경(南京)에서 제(帝)라고 자칭하고 연호를 ‘홍무(洪武)', 국호를 ‘대명(大明)'이라고 하였다. 원(元) 나라는 각 지역에 농민들의 타격하에 멸망되었다.
77. 명성조가 북경으로 천도하다 ( 明成祖迁都北京,míng chéng zǔ qiān dū běi jīng )
명성조 (明成祖) 주태(朱태)는 즉위한 뒤 영락(永樂) 16년(1420년) 북경으로 도읍을 옮기고 궁전을 구축하였으며 남경을 유도(留都)로 하였다. 영락(永樂)황제는 자금성(紫禁城)의 첫 황제였다.
78. 척계광이 왜구을 물리치다 ( 戚继光抗击倭寇, qī jì guāng kàng jī wō kòu )
16세기 중엽, 중국 동남 연해일대에 일본과 다른 나라들의 해적이 중국 국경에 소란을 피우자, 명나라 정부는 척계광 (戚繼光) 을 파견하여 왜구을 물리치게 하였다 . 척계광 (戚繼光) 은 10여년의 항전을 거쳐 끝내 해적들을 소탕하였다.
79. 일조변법 ( 一条鞭法, yī tiáo biān fǎ )
(明)나라의 일조변법 (銀納制:一條鞭法)은 중국 봉건사회 부역사(賦役史)의 중대한 변역(變役)이었다. 각 도시의 전부(田賦), 요역 및 기타 잡세를 하나로 합쳐서 징수하였으며 토지 사용량에 따라 납세하고 요역을 납세로 바꾸었다.
80. 토목의 변 ( 土木之变, tǔ mù zhī biàn )
1499년, 몽고 오이라트 부장 야선( 也先 )이 군대를 거느리고 산서(山西)를 진공하였다. 대신 왕진(王振)은 50만 군대를 거느리고 토목보(土木堡)에서 명(明)나라 군대를 격파하고 명영종(明英宗)을 포로로 잡았다.

 

81. 명나라 말년 농민반란 ( 明末农民起义, míng mò nóng mín qǐ yì )
(明)나라 말년의 농민반란은 우선 1627년에 일어났다. 산북 (陝北)의 왕이(王二)가 수백명의 농민을 거느리고 반란을 일으켰다. 이자성(李自成)과 장헌충(張獻忠)도 1630년 전후로 반란군에 가입하였다. 이자성(李自成)이 1644년에 북경을 함락하고 종정(崇禎) 황제가 자살함으로써 명(明)나라는 멸망하였다.
82. 오삼계가 청나라에 투항하다 ( 吴三桂降清, wú sān guì xiáng qīng )
변방을 지키던 명나라의 장군 오삼계 (吳三桂) 는 자기의 애첩 진원원을 이자성 (李自成)에게 빼앗기자 마음속으로 이자성을 증오하여 청나라에 투항하였다 . 오삼계 (吳三桂) 는 청나라 군대를 거느리고 남하 (南下)하여 명(明)나라 강산을 함락하였다.
83. 정성공이 대만을 수복하다 ( 郑成功收复台湾,zhèng chéng gōng shōu fù tái wān )
대만 (臺灣) 은 중국에서 가장 큰 섬이며 1624년 네덜란드 식민민주주의자들이 침입하였다. 1661년 정성공은 대만을 공략하고 식민지배자들을 격퇴하였으며 민족영웅으로 되었다.
84. 강희가 삼번을 진압하다 ( 平定三藩, píng dìng sān fān )
삼번 (三藩)은 평서왕 오삼계 (平西王吳三桂), 평남왕 상가희 (平南王尙可喜), 정남왕 경중명(靖南王耿仲明)이다. 이들은 각기 자기의 세력을 지니고 독립적인 나라를 형성되어 청(淸) 나라 정권을 위협하였다. 강희제(康熙帝)의 결단으로 이 번왕(藩王)들을 진압하였다.
85. 중러 네르친스크 조약 ( 中俄-尼布楚条约, zhōng’é ní bù chǔ tiào yuē )
1686년 겨울 야쿠츠크에 정전 (停戰)한 뒤 청나라와 러시아는 담판을 통해 중러 경계를 정하였다. 쌍방은 평등의 기초위에서 ≪ 네르친스크조약 ≫를 체결하고 법율상에서 중러 양국 동쪽 경계를 명확히 정하였다.

 

86. 탄정입모 ( 摊丁入亩,tān dīng rù mǔ )
탄정입모는 청 (淸)나라 옹정제(雍正帝)가 새로 실시한 부세(賦稅)제도이다. 탄정입모는 1724년에 전국적으로 실시되었으며 이는 밭이 많으면 세를 많이 내고 적으면 적게 내도록 요구하여 나라의 수입을 올렸다.
87. 화탁형제의 반란 ( 大小和卓发动叛乱, dà xiǎo hé zhuó fā dòng pàn luàn )
18세기 중엽 위구르족의 화탁 (和卓) 형제는 반란을 일으켰다. 그들은 티베트 에 자기의 나라를 세우고 황제로 자칭하려고 하였다. 건륭제( 乾隆帝)는 군대를 파견하여 진압하였다.
88. 호문소연 ( 虎门销烟, hǔ mén xiāo yān )
청나라 말년 , 영국 아편상인은 중국에 아편을 밀수하였다. 도광 제 (道光帝)는 아편금지령를 내렸다. 임칙서(林則徐)와 등정정(鄧廷楨)은 문무대신들을 거느리고 2만여상자, 237만여 근이나 되는 아편을 호문(虎門)에서 불태웠다.
89. 삼원리에서 영국에 대항하여 투쟁하다 ( 三元里抗英斗争, sān yuán lǐ kàng yīng dòu zhēng )
(淸)나라 말년에 삼원리에서 영국군의 폭행에 격분한 농민들은 괭이, 삽, 방망이를 들고 영국군이 있는 사방포대(四方砲臺)를 포위공격해서 큰 승리를 거두었다.
90. 제 1차 아편전쟁 ( 第二次鸦片战争, dì’èr cì yā piàn zhàn zhēng )
1840년 영국은 제1차 아편전쟁을 발동(發動)하였고 중국은 전패하여 상권욕국(喪權辱國)의 “ 남경조약 ( 南京條約 )” 을 체결하였고 항구를 개방하기로 되었다 . 이 조약체결을 기점으로 해서 중국은 반식민지 , 반봉건사회로 전화(轉化)하였다.

 

91. 제 2차 아편전쟁 (第二次鸦片战争, dì’èr cì yā piàn zhàn zhēng)
1856년 영국과 프랑스는 제2차 아편전쟁을 발동(發動)하였다. 청나라는 또 전패하여 “북경조약(北京條約)” 을 체결하였으며 땅을 빼았기고 배상금을 받쳤다 . 동시에 러시아, 미국 등도 중국에 대한 침범을 시작하였다.
92. 원명원을 불태우다 ( 火烧圆明园, huǒ shāo yuán míng yuán )
1860년 영국, 프랑스 연합군이 북경을 공략한 뒤 “만원의 원(萬園之園)”인 원명원 (圓明園) 에 뛰어들어 진귀한 문물 (文物)을 약탈, 파괴하였으며 최후에 불을 질렀다.
93. 태평천국운동 ( 太平天国运动, tài píng tiān guó yùn dòng )
1851년 홍수전이 광서(廣西)에서 반란을 일으켰고, 호는 “태평천국”이라고 내세우고 군대를 “태평군”이라고 불렀다. 이는 중국 역사에서 가장 큰 농민반란이었으며 청(淸)나라와 외국신민주의자를 반대하여 일으킨 반란이다. 반란은 실패로 끝났다.
94. 중일 갑오전쟁 ( 中日甲午战争, zhōng rì jiǎ wǔ zhàn zhēng )
1894년 일본은 중국에 전쟁을 발동하였다. 이는 갑오년(甲午年)에 일어났기에 갑오전쟁 (甲午戰爭) 이라고 한다 . 전쟁은 중국의 전패로 끝났으며 북양(北洋)함대는 전군복멸하고 “마관조약(馬關條約)”을 체결하였다.
95. 무술변법 ( 中日甲午战争, zhōng rì jiǎ wǔ zhàn zhēng )
1898년 광서제(光緖帝)는 유신변법(維新變法)을 행했다. 이는 서방(西方)의 정치, 경제, 문화, 군사등 여러 내용을 배우는 것이다. 강유위 (康有爲), 양기초(梁啓超) 등은 적극적으로 참가하였다. 그러나 자휘후(慈禧后)는 광서제(光緖帝)를 감금(監禁)하고 담사동(譚嗣同)을 살해하여 변법은 실해하고 말았다. 또 “백일유신(百日維新)”이라고도 한다.

 

96. 의화단운동 ( 中日甲午战争, zhōng rì jiǎ wǔ zhàn zhēng )
1899년 주홍등(朱紅燈)은 의화권(義和拳)을 거느리고 산동(山東) 서부와 서북부에서 반 (反) 그리스도교 운동을 진행하였다. 의화단 (義和團) 제국주의와의 투쟁을 목표로 하였으며 ‘ 청 (淸)나라를 받들고 외국을 멸망시킨다(扶淸滅洋)'는 구호를 외쳤으나 결국 진압되고 말았다.
97. 8개국 연합군이 북경에 입성하다 ( 八国联军入北京, bā guó lián jūn rù běi jīng )
의화단운동 (義和團運動)이 일어난 후 영국, 러시아 , 독일, 프랑스, 미국,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일본 등 8개국은 연합군을 형성하여 직접 무장간섭을 하였다. 1900년 북경을 공략하였고 자희(慈禧), 광서(光緖)는 서안(西安)으로 피난갔으며, 청(淸)나라는 “신축조약(辛丑條約)”을 체결하였다.
98. 보로운동 ( 保路运动, bǎo lù yùn dòng )
제국주의는 중국에서 철로 건축권의 쟁탈을 중요시하였다 . 이에 청(淸)나라는 철로 건축권을 팔려고 하였다. 이는 각계 인사들의 분노를 불러 일으켰다. 호남(湖南), 호북(湖北), 광동(廣東), 사천(四川) 4개성에서 보로운동 (保路運動) 을 시작하였다 .
99. 청나라 황제가 퇴위하다 ( 清帝退位, qīng dì tuì wèi )
원세개 (袁世凱)는 총통(總統)으로 되기 위하여 무력으로 청(淸)나라 황제를 퇴위시켰다. 융유후(隆裕后)는 1912년2월12일에 ≪청 (淸)나라 황제의 퇴위조서(詔書)≫를 반포하여 청(淸)나라 황제가 퇴위하였다. 이로부터 중국의 봉건통치는 결속되었다.
100. 신유정변 ( 清帝退位, qīng dì tuì wèi )
1861년 청(淸)나라 함풍제 (咸豊帝)가 병사(病死)한 후 그의 6살되는 아들이 즉위하게 된다. 그리고 단화(端華), 재단(載檀), 숙순(肅順) 등 8명이 공동으로 보정(輔政)하도록 유언하였다. 그러나 서태후 자희(西太后 慈禧)와 공친왕 혁흔(恭親王 奕園)은 북경에서 정변을 일으키고 숙순을 살해하였고 나머지 사람들도 충군(充軍)이 되었다. 이때로부터 중국은 서태후 자희(西太后 慈禧)의 통치가 시작되었다.
101. 양무운동 ( 洋务运动,yáng wù yùn dòng )
(淸)나라 대신(大臣) 이홍장 (李鴻章) 은 서방 나라의 선진기술을 배우는 양무운동 (洋務運動) 을 일으켰다. 이는 군사, 정치, 경제, 외교 등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자강(自强)”이라는 이름으로 군사공업 및 기타 공업을 발전시키고 신식무기로 육해군을 정비시키는 것이었다.